본문 바로가기
흥미로운 과학이야기

핼리혜성 궤도 원일점 통과!! 38년 후 태양 도착!!

by 꼬꼬망이 2023. 12. 11.

핼리혜성 38년 후 태양 도착!!

 

12월 9일 핼리혜성이 궤도의 원일점을 통과했습니다. 86년 2월 9일 근일점 통과 후 37년 10개월 만에 원일점을 통과한 것입니다. 38년 뒤 다시 지구에서 관측 가능 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핼리혜성

 

인류에게 가장 친숙한 혜성인 핼리혜성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핼리혜성 원일점 통과

혜성이란?

혜성은 우주에 존재하는 소천체 중 하나입니다. 태양 주변을 공전하고 있는데 공전궤도 이심률이 보통은 1에 가깝거나 1을 넘어 쌍곡선 궤도 혜성도 존재합니다.

 

혜성은 암석과 얼음, 먼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행성과 논란이 있었던 천체인데, 혜성은 태양 주변을 돌 때 혜성 대기의 일종인 코마와 꼬리가 존재하면 혜성으로 분류됩니다.

 

혜성은 기체꼬리가 길게 생겨서 꼬리별로 불리기도 하고, 활과 비슷하다 하여 살별로 불리기도 합니다. 자주 보이지 않고 가끔 찾아온다 하여 객별이라고도 불렸습니다.

 

혜성의 명명법은 천체의 발견자의 이름을 따지 않고, 주기를 밝혀낸 사람의 이름을 따라 명명하고 있습니다.

 

핼리혜성이 우리에게 친숙한 이유는 수많은 혜성들 중에서 가장 먼저 주기가 밝혀진 혜성이기 때문입니다. (애드먼드 핼리)

 

크기가 작은 혜성은 태양을 지날 때 녹아서 사라지거나 태양의 조석력에 의해서 부서지기도 합니다. 

 

혜성의 궤도 공전 주기에 따라 주기가 짧으면 단주기 혜성, 주기가 길면 장주기 혜성으로 분류합니다.

주기 기준은 200년입니다. 200년 보다 짧은 주기로 한 바퀴 공전하면 단주기 혜성이 됩니다. 단주기 혜성 중에서도 20년 이하의 주기를 가지고 있으면 목성족 혜성으로 분류하고, 20~200년 주기를 가지고 있으면 핼리형 혜성으로 분류합니다.

 

2022년 기준 핼리형 혜성은 94개, 목성족 혜성은 744개 발견되었습니다.

 

장 주기 혜성은 200년 이상에서 수백만 년 주기로 태양을 돌아오는 혜성입니다. 

 

혜성을 분류하는 또 다른 점은 밝기인데, 보통 10년에 한 번씩 육안으로 보일 정도로 가깝고 밝은 혜성이 찾아옵니다. 이 혜성을 대혜성이라고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대해성은 1577년 튀고 브라헤가 관측한 혜성입니다. 이때 혜성이 지구 대비 바깥에 존재하는 천체라는 사실을 밝혀냈고, 태양중심설을 받아들이게 계기 중 하나입니다.

1577년-대혜성을-기록한-판화
1577년 대혜성을 기록한 판화 (출처 : 위키백과)

 

혜성은 근일점을 통과하거나 지구에 가장 가까이 지날 때 유성우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초기 지구에는 소행성과 혜성의 충돌이 잦았는데 그때 혜성이 지구에 물을 가져다주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핼리혜성 원일점 통과

핼리혜성의 특징

 

핼리혜성의 공식 명칭은 (1P/Halley)입니다. 명칭 앞에 1P는 첫 번째로 궤도를 밝혀낸 혜성이라는 의미입니다.

 

애드먼드 핼리가 75년~76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한다는 것을 밝혀냈고 다음에 방문하는 시기를 예측해서 이름 지어진 혜성입니다. 

 

핼리혜성은 궤도의 원일점을 2023년 12월 9일 통과했습니다. 마지막 관측은 1986년 2월 9일이었고, 다음 방문은 2061년 7월 28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혜성의 구분에 따라 핼리혜성은 단주기 혜성으로 분류되는데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유일한 단주기 혜성입니다. 따라서 인간이 평생에 걸쳐서 최대 두 번까지 관측이 가능한 거의 유일한 혜성입니다.

 

핼리혜성의 성분은 얼음과 먼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80%는 물이고, 15%가 일산화탄소입니다. 다른 혜성들도 비슷한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핼리혜성은 공식적으로 1531년을 발견일로 하고 있는데, 기록상으로는 기원전 240년 중국 천문학자에 의해서 최초로 관측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후 86년까지 30번 정도의 관측 기록이 있습니다.

 

혜성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에는 두려움의 대상이었고 불길한 징조였습니다. 기록에 나온 혜성이 핼리혜성인지 확인하는 절차는 어려우나 주기의 특성상 비숫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조선시대의 기록으로 보면 혜성이 보이면 반란의 징조로 여겼습니다. 1456년 세조 때 사육신이 거사를 도모하였다가 처형, 1531년 중종 때 김안로가 문정왕후를 폐위하려다 발각되어 사약을 받은 일 등,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는 혜성이 등장하고 나라에 큰일들이 생겼었습니다.

 

핼리혜성을 관측한 조선시대의 기록은 조선시대의 천문학 수준을 알게 해 주는 중요한 자료로 유네스코에 등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핼리혜성은 해왕성 너머 지구에서 53억 Km 떨어진 곳에서 다시 지구로 돌아오고 있는 중입니다.

 

다시 볼 수 있는 그날까지 건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