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티스토리/티스토리 관리 팁

가비아 도메인 구매 및 연결하기

by 꼬꼬망이 2024. 1. 19.

가비아 도메인 구매 및 연결하기

블로그를 운영하거나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에서는 온라인상에서 쉽게 찾아 들어올 수 있는 주소가 필요합니다. 그 주소를 도메인이라고 하는데 가비아를 통해서 도메인을 구매하는 방법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비아-도메인-연결하기-썸네일

 

온라인에서 서버를 구축하고 사이트를 만들었다면 아이피로 되어있는 주소를 갖고 있거나 티스토리나 네이버블로그의 기본 주소를 갖고 있을 것입니다. 이런 주소를 내가 원하는 도메인으로 변경할 때도 유용하고 내 사이트를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내 사이트를 각인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에 도메인 주소를 설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가비아 도메인 구매하기

1. 도메인 등록 방법

도메인은 naver.com, daum.net, google.com 등의 인터넷상 주소를 의미합니다.

숫자로 나열된 IP주소보다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도메인은 필수로 등록하는데 블로그를 운영하면 네이버나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기본 도메인을 써도 무방하지만 개인도메인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또한 사이트를 운영하려면 사이트의 목적에 맞는 도메인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도메인을 대행하는 사이트는 정말 많이 있습니다. 보통 호스팅 업체가 도메인 등록도 대행하고 있습니다. 일반인들에게 가장 많이 노출되어 있는 가비아나 카페 24가 있고, 아이네임즈나 메가존 같은 사이트도 있습니다.

 

오늘은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비아 바로가기

 

 

 

 

 

 

 

가비아 도메인 구매하기

2. 도메인 구매하기

가비아-로그인

 

가비아 사이트에 접속하면 메인화면에 도메인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그전에 가입과 로그인하시면 되고, 저는 카카오 간편 가입으로 쉽게 가입했습니다. 편하신 방법으로 가입하시면 됩니다.

 

가비아-도메인-검색

 

원하는 도메인을 검색하다 보면 이미 있는 도메인들이 있고, 그 도메인도 기존 소유주가 얼마에 팔겠다고 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진짜 원하는 도메인이라면 대행사를 통해서 구매를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기업급의 사이트를 운영해야 해서 저 도메인이 완전히 필요하지 않은 이상은 하이픈을 넣거나 해서 원하는 도메인을 찾는 편이 좋습니다.

 

실제 구매한 도메인이라서 모자이크 처리했습니다. 

도메인-신청하기

 

원하는 도메인을 검색하고, 선택 후 신청하기를 누르면 됩니다.

 

도메인은 com, co.kr, kr 세 개 중 한 개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도메인명을 도저히 포기 못하겠고, 쇼핑몰을 운영해야 한다면. shop이나. store 도 괜찮겠지만 유입을 위해서는 인기 도메인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거라면 세 개 중 하나를 반드시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가격이 500원 이런 것에 혹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위 금액은 1년 가격입니다.

도메인-서비스-신청

 

가비아에서 처음 도메인을 구매하면 기본 기간이 3년으로 설정이 되어있는데  기간은 1년으로 변경해서 결제하시면 됩니다. 이후에 연장하는 것이 좋고, 실제로 1년으로 구매하는 것이 할인율도 높습니다. 

 

소유자 정보를 빠짐없이 입력하시고 다음단계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가비아는 도메인을 구매하는 본인의 소유자 인증을 해야 합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에 메일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인증으로 진행됩니다.

가비아-이메일-인증

 

입력한 이메일로 들어가서 새 메일을 찾아보면 바로 인증메일이 와있습니다. 인증하고 다시 가비아로 돌아와서 결제하시면 도메인 구매는 끝이 납니다,

 

도메인-결제

도메인 1년 결제 비용은 16,000원에 부가세 1,600원으로 17,600원입니다. 도메인 주소에 따라서 조금씩 가격차이가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결제창에서 스크롤 내리다 보면 네임서버 등 설정하는 것이 나오는데 기본으로 두시면 가비아 네임서버를 사용합니다.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가서비스만 안전잠금 정도 무료서비스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유료 서비스는 판단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결제는 카드나 계좌이체 전부 가능합니다.

가비아-결제-완료

 

결제를 완료하고 나면 도메인이 생성되어 있습니다. 결제정보와 관리정보 확인하고 나서 my가비아로 가서 구매한 도메인을 확인해 주면 됩니다.

 

결제상황에 따라서 도메인이 늦게 뜨는 경우도 있으니 10분 정도 기다려보면 구매한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을 것입니다.

 

 

 

 

가비아 도메인 구매하기

3. 도메인 연결하기

 

도메인을 구매가 완료되면 내 사이트와 연결을 해주어야 합니다.

 

도메인-서비스-관리

 

my가비아에 들어가서 도메인을 클릭하면 내가 구매한 도메인 목록이 나옵니다. 

 

새로 구매한 도메인은 365일 남아있다고 기간도 나오고, com은 24,000원이고 co.kr은 21,000원으로 가격차이가 있음도 보입니다.

 

도메인을 클릭하면 도메인 관리창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도메인-관리

 

도메인을 확인해 보면 등록확인증은 소유주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정보입니다. 출력해 두셔도 되고 언제든 확인가능하니 한번 확인하고 넘어가셔도 됩니다.

 

좌측 3번째 DNS 정보로 들어가시거나 스크롤을 내려서 우측 하단에 보면 아래처럼 DNS정보 관련된 화면이 있습니다.

DNS정보-관리

DNS정보에서 표시되어있는 레코드설정을 클릭하면 내가 구매한 도메인의 DNS 레코드를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DNS레코드는 내 사이트와 구매한 도메인을 연결해 주는 작업입니다.

 

레코드-입력하기

레코드 설정을 클릭하고 나면 도메인들이 나오는데, 이전에 구매한 도메인은 설정이 되어있고, 바로 구매한 것은 아직 DNS 레코드가 없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설정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DNS-레코드-수정

 

여기서 레코드 수정을 클릭하면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

레코드-추가

 

여기서 레코드는 내가 구매한 도메인이 보기 좋은 주소라고 하면, 레코드는 실제 사이트에 접속되는 주소입니다.

 

사이트를 새로 구축했다면 ip주소가 될 것이고, 티스토리 블로그라면 OO.tistory.com 이 될 것입니다.

 

위에서 레코드 추가를 눌러주고 호스트에 '@' 입력, 값/위치 에는 ip주소를 입력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라면 값/위치에 host.tistory.io. 를 입력하면 됩니다.

host.tistory.io.

 

한번 더 레코드 추가를 눌러주시고 호스트에 www 입력, 값/위치에는 동일하게 ip주소를 입력해 주면 됩니다.

 

이후 저장을 하면 가비아에 내 사이트를 등록이 되었습니다. 메인도메인이 설정된 것입니다.

 

레코드 설정에서 하위도메인도 설정이 가능한데, 하위 도메인 다른 사이트가 한 개 더 있고, 호스트만 바꿔서 같은 도메인으로 접속이 가능하게 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하위도메인 설정은 필요하면 추가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www.naver.com이 메인 도메인이라면 news.naver.com은 하위 도메인이 됩니다. 레코드 설정에서 추가가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비아에 도메인을 연결하고 내 사이트의 메인서버에서도 구매한 도메인을 추가하고 나서 메인으로 설정하면 구매한 도메인으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티스토리의 경우는 블로그 관리 홈에서 개인도메인을 입력하는 란에 입력하면 완료가 됩니다.

사이트-최초접속

 

가비아에서 레코드 설정이 끝났고, 내 사이트에서도 가비아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연결했다면 주소창에 도메인 입력 후 사이트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위 이미지 처럼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이 되었다고 나올 텐데 보안인증서가 발급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티스토리-보안인증서

티스토리 블로그라면 블로그홈 > 블로그 > 개인 도메인 설정에서 도메인 입력과 보안인증 설정이 모두 가능합니다. 보안인증은 바로 될 때가 있지만 '발급 중'으로 표시되면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이트를 운영하시는 분은 SSL인증서를 발급받으면 됩니다.

SSL-보안인증서

 

위처럼 SSL인증서 업체들이 있고, 유료로 이용하거나 서버업체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니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안인증이 완료가 되면 아래와 같이 정상접속이 가능합니다.

보안인증-완료

사이트 주소창에 자물쇠 모양으로 나오면 완료 된 것입니다. https:// 로 시작하는 도메인 접속이 가능하다는 뜻이고, 보안상 안전하다는 의미입니다.

 

새로운 도메인을 연결했다면 꼭 실행해야 하는 작업이니 참고하시기 바라며 오늘의 포스팅을 마칩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